
글 수 27
꿈의 저장장치 - Mtron SSD MOBI 3025
SSD 이해하기
컴퓨터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과 보급 덕택으로 이제는 어느 가정이나 한대쯤 가지고 있는 개인용 컴퓨터는 15년전의 슈퍼컴퓨터 성능을 훌쩍 뛰어넘고 있습니다. 컴퓨터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핵심부품들의 성능은 한 해가 무섭게 발전하고 가격도 저렴해 지고 있어서 누군가가 컴퓨터를 가장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시기를 문의하면 죽기 직전에 사는 것이라는 대답이 정설이 되어 버렸습니다.
그러나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 받으며 작동하는 다른 부품들과는 달리 하드디스크는 항상 컴퓨터 사용자가 체감할 수 있는 성능향상의 발목을 잡고 있었습니다. 하드디스크는 크게 정보가 기록되고 읽히는 Platter disks, Disk를 회전시키는 motor, 그리고 Disk 에 정보를 기록하고 읽어 들이는 Head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위에 말씀 드린 구성요소들이 물리적으로 움직여야 한다는 뜻 입니다.
현재 스핀들 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4200RPM, 5400RPM, 7200RPM 제품이 대중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으며 데스크 탑 전용으로 10,000RPM 제품도 있습니다. 그 중 노트북에는 5400RPM 제품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좀 더 빠른 속도를 원하는 분들은 7200RPM 제품을 찾기도 합니다. 물론 좋은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더 빠른 회전이 필요하므로 그에 따른 소음과 발열, 전력소모는 피할 수 없는 난관이 되어왔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탄생한 것이 바로 SSD (Solid State Disk) 입니다. 하드디스크와는 달리 SSD는 메모리와 컨트롤러로 구성되어 있어서 기계적인 움직임이 필요 없습니다. 이로 인해 하드디스크와는 비교할 수 없는 속도와 안정성이 확보되는 것입니다.
엠트론의 제품 라인업
오늘 살펴볼 제품은 SSD 기술력의 선두주자 Mtron의 MOBI 3000 시리즈 중 SATA 방식의 2.5인치 32GB 용량의 MOBI 3025 입니다. Mtron 제품 라인업은 크게 PRO 와 MOBI 로 나눌 수 있는데 읽기 120 MB/sec, 쓰기 90 MB/sec 의 속도를 제공하는 PRO 제품에 비해 속도를 약간 낮추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을 내세운 것이 MOBI 입니다. 속도를 낮추었다고는 하지만 MOBI 3000 시리즈는 SLC 방식으로 여전히 빠른 속도인 읽기 100 MB/sec, 쓰기 80 MB/sec를 자랑합니다.
SLC (single level cell) 방식인 MOBI 3000 시리즈보다 더욱 저렴한 MOBI 1000 시리즈도 있는데 이것은 MLC (multi level cell)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여기에서 간단하게 SLC 와 MLC 방식의 차이점을 언급하자면 SLC는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하나의 Cell 을 사용하고 MLC는 두 개 이상의 Cell 을 이용하는 것인데, MLC가 SLC보다 비교적 제작하기가 쉽고 칩 사이즈도 더 작으면서 저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합니다.
제품 사진
일단 제품이 담겨있는 박스의 모습입니다.

아래 사진은 박스의 내용물입니다. 충분한 완충재가 제품을 보호하고 있으며 정전기 방지 비닐에 본체가 들어가 있고 제품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도 함께 동봉되어 있습니다.

제품의 전면 입니다. 백색 플라스틱 케이스에 초록색 레이블 위에 제품의 사이즈, 용량, 방식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뒷면입니다. P/N 와 Serial 번호가 적혀있는 스티커가 붙어 있습니다.

커넥터 부분을 확대했습니다. 노트북에 장착되어 있던 SATA 방식의 HDD를 빼 내면 바로 장착이 가능합니다.

사용자의 임의 개조로 인한 제품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 나사가 아닌 소형 육각볼트로 잠겨 있고 Seal이 손상되면 warranty를 보장할 수 없다는 문구의 스티커가 붙어있습니다. 다른 제품과는 달리 SSD를 임의로 분해 할 이유는 없을 듯 합니다.

제품 측면을 보면 노트북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홈은 마련되어 있지만 나사 산은 깎여있지 않습니다. 아마도 노트북마다 사용되는 나사의 크기와 산의 규격이 상이하기 때문인 듯 합니다. 드라이버로 나사를 돌려주면 나사 산이 어렵지 않게 만들어집니다.
하드디스크와의 무게비교
노트북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조그만 무게에도 민감할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얼마 되지 않는 중량차이 이지만 좀 더 무게를 줄이기 위해 플라스틱 케이스를 채택한 MOBI 3025 와 2.5인치 범용 하드디스크의 무게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Mtron MOBI 3025 의 Spec
Mtron MOBI 3025는 읽기 100 MB/sec, 쓰기 80 MB/sec 의 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조사에서 밝힌 제품의 스팩을 표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여기에서 테스트 환경이 인텔이 아니라 AMD CPU 와 NVIDIA 칩셋 이라는 점이 특이합니다. ICH8/ICH9 칩셋 제조업체인 인텔 칩셋 에서는 ATA133(UDMA mode6)을 지원하고 있지 않습니다. Mtron에서는 제품의 성능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UDMA mode 6를 지원하는 AMD를 사용한 것입니다. 제조사에서 명시한 속도를 100% 발휘하기 위해서는 AMD 환경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SLC 방식의 메모리 모듈은 Single cell 에 1개의 정보를 담는 구조로, 데이터를 기록하고 지우는 횟수가 약 10만회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엠트론의 SSD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웨어 레벨링(Wear-leveling) 기술을 도입했는데 Wear-leveling 이란 자주 데이터를 기록하는 셀을 피해 다른 여유 있는 셀을 찾아 균등하게 데이터를 기록하게 만들어 특정 셀의 노화로 데이터 저장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입니다.
벤치마크로 성능 알아보기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객관적인 툴이 필요했습니다. 제가 사용한 Tool 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하드 디스크의 벤치 프로그램인 HD Tune과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을 쉽게 알아 볼 수 있는 PCMark05 입니다.
성능을 테스트 하기 위해 제가 사용한 시스템은 Lenovo X61t 이며, 주요 사양은 아래와 같습니다.
CPU : Intel Core 2 duo L7700
L2 Cache : 4MB
Chipset : Intel GM965 + ICH8-M
Graphics : Intel GMA 3100
RAM : DDR2 667 3GB (2GB+1GB)
OS : Windows Vista Business-K
비교대상 HDD는 Hitachi HTS722020K 9S (200GB 7200RPM) 와 Fujitsu MYH2200BH (200GB 5400RPM) 입니다.
먼저 HD Tune 을 이용하여 테스트 한 Mtron MOBI 3025 의 결과입니다.

Average Transfer rate 80.8MB/s, Access time 은 0.2ms 로 놀라운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Hitachi HTS722020K 9S의 결과는 아래에 있습니다.

7200RPM HDD 에 비해서 Transfer rate는 2배 가까이 빠르고, Access time 은 비교가 불가능 합니다.
아래사진은 5400RPM 의 Fujitsu MYH2200BH 입니다.

Trasfer rate는 5400RPM HDD 에 비해 2배가 넘는 속도를 관찰 할 수 있었습니다. 원형의 Disk가 회전하면서 데이터를 읽어 들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안쪽의 Transfer rate 가 감소하는 특성을 지닌 HDD 와는 달리 SSD 는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한 speed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PCmark05를 이용하여 HDD를 SSD로 교체함으로써 얼마나 많은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지 알아 보았습니다. PCmark05는 컴퓨터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하드웨어의 성능을 간단하게 점수로 합산하여 볼 수 있는 벤치마크 프로그램입니다.
테스트는 동일한 하드웨어 시스템이 사용되었고 HDD만 바꾸어 장착하여 진행하였는데 각 HDD 에 설치된 윈도우와 프로그램 또한 Norton Ghost를 이용하여 정확히 같은 환경으로 만든 후 실시했습니다.
Fujitsu MYH2200BH(5400RPM)을 X61t에 장착하여 도출된 결과부터 보겠습니다.

다음엔 HTS722020K 9S(7200RPM)을 장착하여 PCmark05를 돌려보았습니다.

HDD를 5400RPM 에서 7200RPM으로 바꾸어주니 종합점수는 3769에서 3913으로 올라갔고 HDD Score는 3828에서 4704로 높아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HDD를 빼내고 Mtron MOBI 3025를 장착해 보았습니다.

PCmark05 Score 가 4360을 기록하는군요. HDD Score 는 무려 7200RPM HDD 의 두 배를 상회하는 9185점을 나타냈습니다.
이번엔 PCMark05 의 HDD 세부항목 결과를 보겠습니다. HDD 항목에서는 XP-Start up, Application Loading, General Usage, Virus Scan, File Write 수치를 알 수 있습니다.
좌측으로부터 Fujitsu MYH2200BH, Hitachi HTS722020K 9S, Mtron MOBI 3025의 결과입니다. (그림을 클릭하시면 조금 더 큰 사진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위의 벤치마크 결과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Table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Mtron MOBI 3025 체감성능
노트북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장착되어 있던 HDD를 떼어내고 값비싼 SSD를 장착할 때에는 그에 상응하는 체감성능 향상을 기대하기 때문이겠지요. SSD의 진가를 발휘하는 순간은 역시 빠른 Booting Speed와 무거운 Application Programs의 Loading 속도일 것입니다.
System이 부팅하기 위해서는 CPU, RAM 등도 중요한 요소가 되겠지만 가장 큰 관건은 OS가 동작하기 위한 Data를 얼마나 빨리 저장장치에서 읽어 들일 수 있는가 입니다.
위에서 말씀 드린 Lenovo X61t를 이용하여 동일한 환경에서 부팅속도와 PhotoShop CS3 로딩속도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Booting 하여 윈도우 사이드 바가 뜨고 나면 바로 PhotoShop CS3를 실행하는 방식으로 측정하였고 각각 5번씩 Booting을 반복하여 평균값을 기록하였습니다.

다음은 동일 드라이브 내에서의 파일전송 속도 측정치 입니다. 각각의 드라이브를 C와 D로 파티션 하여 C 파티션에 저장되어 있는 6개의 총 1.34GB 용량의 파일을 D 파티션으로 복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먼저 Fujitsu MYH2200BH를 보시겠습니다. 대략 11~12MB/sec 의 속도입니다.

아래 사진은 Hitachi HTS722020K 9S 입니다. 약 25~26MB/sec 가 나왔습니다.

이에 반해 Mtron MOBI 3025는 38~39MB/sec 의 파일 전송속도를 보여주었습니다.

엠트론 SSD MOBI 3025의 리뷰를 준비하며 진행하면서 그 동안 노트북을 사용할 때 느끼던 왠지 모를 갑갑함을 한 순간에 벗어 던질 수 있었습니다. Mtron SSD의 유일한 단점이었던 가격부담을 MOBI 시리즈 출시로 부족하나마 일정부분 해소 하였고 Mtron Pro 시리즈와 비교해도 SSD의 매력을 만끽하기에 조금도 모자람이 없는 체감성능 향상을 도모 했다고 보입니다.
아직까지 대중적으로 보급되기에는 가격이 걸림돌이 되겠지만 수개월 전에 비해서는 많이 저렴해 진 것도 사실입니다. 어느 정도 비용지출을 감수하더라도 고 성능, 안정성을 선택한 High-end User 에게 Mtron MOBI 시리즈는 좋은 선택이 될 듯 합니다.
X61t 에 SSD MOBI 3025를 장착하여 Booting한 후 MS-Word, PhotoShop CS3를 연속 실행하는 동영상을 끝으로 리뷰를 마칩니다.
SSD 이해하기
컴퓨터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과 보급 덕택으로 이제는 어느 가정이나 한대쯤 가지고 있는 개인용 컴퓨터는 15년전의 슈퍼컴퓨터 성능을 훌쩍 뛰어넘고 있습니다. 컴퓨터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핵심부품들의 성능은 한 해가 무섭게 발전하고 가격도 저렴해 지고 있어서 누군가가 컴퓨터를 가장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시기를 문의하면 죽기 직전에 사는 것이라는 대답이 정설이 되어 버렸습니다.
그러나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 받으며 작동하는 다른 부품들과는 달리 하드디스크는 항상 컴퓨터 사용자가 체감할 수 있는 성능향상의 발목을 잡고 있었습니다. 하드디스크는 크게 정보가 기록되고 읽히는 Platter disks, Disk를 회전시키는 motor, 그리고 Disk 에 정보를 기록하고 읽어 들이는 Head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위에 말씀 드린 구성요소들이 물리적으로 움직여야 한다는 뜻 입니다.
현재 스핀들 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4200RPM, 5400RPM, 7200RPM 제품이 대중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으며 데스크 탑 전용으로 10,000RPM 제품도 있습니다. 그 중 노트북에는 5400RPM 제품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좀 더 빠른 속도를 원하는 분들은 7200RPM 제품을 찾기도 합니다. 물론 좋은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더 빠른 회전이 필요하므로 그에 따른 소음과 발열, 전력소모는 피할 수 없는 난관이 되어왔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탄생한 것이 바로 SSD (Solid State Disk) 입니다. 하드디스크와는 달리 SSD는 메모리와 컨트롤러로 구성되어 있어서 기계적인 움직임이 필요 없습니다. 이로 인해 하드디스크와는 비교할 수 없는 속도와 안정성이 확보되는 것입니다.
엠트론의 제품 라인업
오늘 살펴볼 제품은 SSD 기술력의 선두주자 Mtron의 MOBI 3000 시리즈 중 SATA 방식의 2.5인치 32GB 용량의 MOBI 3025 입니다. Mtron 제품 라인업은 크게 PRO 와 MOBI 로 나눌 수 있는데 읽기 120 MB/sec, 쓰기 90 MB/sec 의 속도를 제공하는 PRO 제품에 비해 속도를 약간 낮추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을 내세운 것이 MOBI 입니다. 속도를 낮추었다고는 하지만 MOBI 3000 시리즈는 SLC 방식으로 여전히 빠른 속도인 읽기 100 MB/sec, 쓰기 80 MB/sec를 자랑합니다.
SLC (single level cell) 방식인 MOBI 3000 시리즈보다 더욱 저렴한 MOBI 1000 시리즈도 있는데 이것은 MLC (multi level cell)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여기에서 간단하게 SLC 와 MLC 방식의 차이점을 언급하자면 SLC는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하나의 Cell 을 사용하고 MLC는 두 개 이상의 Cell 을 이용하는 것인데, MLC가 SLC보다 비교적 제작하기가 쉽고 칩 사이즈도 더 작으면서 저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합니다.
제품 사진
일단 제품이 담겨있는 박스의 모습입니다.

아래 사진은 박스의 내용물입니다. 충분한 완충재가 제품을 보호하고 있으며 정전기 방지 비닐에 본체가 들어가 있고 제품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도 함께 동봉되어 있습니다.

제품의 전면 입니다. 백색 플라스틱 케이스에 초록색 레이블 위에 제품의 사이즈, 용량, 방식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뒷면입니다. P/N 와 Serial 번호가 적혀있는 스티커가 붙어 있습니다.

커넥터 부분을 확대했습니다. 노트북에 장착되어 있던 SATA 방식의 HDD를 빼 내면 바로 장착이 가능합니다.

사용자의 임의 개조로 인한 제품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 나사가 아닌 소형 육각볼트로 잠겨 있고 Seal이 손상되면 warranty를 보장할 수 없다는 문구의 스티커가 붙어있습니다. 다른 제품과는 달리 SSD를 임의로 분해 할 이유는 없을 듯 합니다.

제품 측면을 보면 노트북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홈은 마련되어 있지만 나사 산은 깎여있지 않습니다. 아마도 노트북마다 사용되는 나사의 크기와 산의 규격이 상이하기 때문인 듯 합니다. 드라이버로 나사를 돌려주면 나사 산이 어렵지 않게 만들어집니다.
하드디스크와의 무게비교
노트북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조그만 무게에도 민감할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얼마 되지 않는 중량차이 이지만 좀 더 무게를 줄이기 위해 플라스틱 케이스를 채택한 MOBI 3025 와 2.5인치 범용 하드디스크의 무게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Mtron MOBI 3025 의 Spec
Mtron MOBI 3025는 읽기 100 MB/sec, 쓰기 80 MB/sec 의 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조사에서 밝힌 제품의 스팩을 표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여기에서 테스트 환경이 인텔이 아니라 AMD CPU 와 NVIDIA 칩셋 이라는 점이 특이합니다. ICH8/ICH9 칩셋 제조업체인 인텔 칩셋 에서는 ATA133(UDMA mode6)을 지원하고 있지 않습니다. Mtron에서는 제품의 성능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UDMA mode 6를 지원하는 AMD를 사용한 것입니다. 제조사에서 명시한 속도를 100% 발휘하기 위해서는 AMD 환경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SLC 방식의 메모리 모듈은 Single cell 에 1개의 정보를 담는 구조로, 데이터를 기록하고 지우는 횟수가 약 10만회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엠트론의 SSD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웨어 레벨링(Wear-leveling) 기술을 도입했는데 Wear-leveling 이란 자주 데이터를 기록하는 셀을 피해 다른 여유 있는 셀을 찾아 균등하게 데이터를 기록하게 만들어 특정 셀의 노화로 데이터 저장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입니다.
벤치마크로 성능 알아보기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객관적인 툴이 필요했습니다. 제가 사용한 Tool 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하드 디스크의 벤치 프로그램인 HD Tune과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을 쉽게 알아 볼 수 있는 PCMark05 입니다.
성능을 테스트 하기 위해 제가 사용한 시스템은 Lenovo X61t 이며, 주요 사양은 아래와 같습니다.
CPU : Intel Core 2 duo L7700
L2 Cache : 4MB
Chipset : Intel GM965 + ICH8-M
Graphics : Intel GMA 3100
RAM : DDR2 667 3GB (2GB+1GB)
OS : Windows Vista Business-K
비교대상 HDD는 Hitachi HTS722020K 9S (200GB 7200RPM) 와 Fujitsu MYH2200BH (200GB 5400RPM) 입니다.
먼저 HD Tune 을 이용하여 테스트 한 Mtron MOBI 3025 의 결과입니다.

Average Transfer rate 80.8MB/s, Access time 은 0.2ms 로 놀라운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Hitachi HTS722020K 9S의 결과는 아래에 있습니다.

7200RPM HDD 에 비해서 Transfer rate는 2배 가까이 빠르고, Access time 은 비교가 불가능 합니다.
아래사진은 5400RPM 의 Fujitsu MYH2200BH 입니다.

Trasfer rate는 5400RPM HDD 에 비해 2배가 넘는 속도를 관찰 할 수 있었습니다. 원형의 Disk가 회전하면서 데이터를 읽어 들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안쪽의 Transfer rate 가 감소하는 특성을 지닌 HDD 와는 달리 SSD 는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한 speed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PCmark05를 이용하여 HDD를 SSD로 교체함으로써 얼마나 많은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지 알아 보았습니다. PCmark05는 컴퓨터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하드웨어의 성능을 간단하게 점수로 합산하여 볼 수 있는 벤치마크 프로그램입니다.
테스트는 동일한 하드웨어 시스템이 사용되었고 HDD만 바꾸어 장착하여 진행하였는데 각 HDD 에 설치된 윈도우와 프로그램 또한 Norton Ghost를 이용하여 정확히 같은 환경으로 만든 후 실시했습니다.
Fujitsu MYH2200BH(5400RPM)을 X61t에 장착하여 도출된 결과부터 보겠습니다.

다음엔 HTS722020K 9S(7200RPM)을 장착하여 PCmark05를 돌려보았습니다.

HDD를 5400RPM 에서 7200RPM으로 바꾸어주니 종합점수는 3769에서 3913으로 올라갔고 HDD Score는 3828에서 4704로 높아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HDD를 빼내고 Mtron MOBI 3025를 장착해 보았습니다.

PCmark05 Score 가 4360을 기록하는군요. HDD Score 는 무려 7200RPM HDD 의 두 배를 상회하는 9185점을 나타냈습니다.
이번엔 PCMark05 의 HDD 세부항목 결과를 보겠습니다. HDD 항목에서는 XP-Start up, Application Loading, General Usage, Virus Scan, File Write 수치를 알 수 있습니다.
좌측으로부터 Fujitsu MYH2200BH, Hitachi HTS722020K 9S, Mtron MOBI 3025의 결과입니다. (그림을 클릭하시면 조금 더 큰 사진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위의 벤치마크 결과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Table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Mtron MOBI 3025 체감성능
노트북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장착되어 있던 HDD를 떼어내고 값비싼 SSD를 장착할 때에는 그에 상응하는 체감성능 향상을 기대하기 때문이겠지요. SSD의 진가를 발휘하는 순간은 역시 빠른 Booting Speed와 무거운 Application Programs의 Loading 속도일 것입니다.
System이 부팅하기 위해서는 CPU, RAM 등도 중요한 요소가 되겠지만 가장 큰 관건은 OS가 동작하기 위한 Data를 얼마나 빨리 저장장치에서 읽어 들일 수 있는가 입니다.
위에서 말씀 드린 Lenovo X61t를 이용하여 동일한 환경에서 부팅속도와 PhotoShop CS3 로딩속도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Booting 하여 윈도우 사이드 바가 뜨고 나면 바로 PhotoShop CS3를 실행하는 방식으로 측정하였고 각각 5번씩 Booting을 반복하여 평균값을 기록하였습니다.

다음은 동일 드라이브 내에서의 파일전송 속도 측정치 입니다. 각각의 드라이브를 C와 D로 파티션 하여 C 파티션에 저장되어 있는 6개의 총 1.34GB 용량의 파일을 D 파티션으로 복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먼저 Fujitsu MYH2200BH를 보시겠습니다. 대략 11~12MB/sec 의 속도입니다.

아래 사진은 Hitachi HTS722020K 9S 입니다. 약 25~26MB/sec 가 나왔습니다.

이에 반해 Mtron MOBI 3025는 38~39MB/sec 의 파일 전송속도를 보여주었습니다.

엠트론 SSD MOBI 3025의 리뷰를 준비하며 진행하면서 그 동안 노트북을 사용할 때 느끼던 왠지 모를 갑갑함을 한 순간에 벗어 던질 수 있었습니다. Mtron SSD의 유일한 단점이었던 가격부담을 MOBI 시리즈 출시로 부족하나마 일정부분 해소 하였고 Mtron Pro 시리즈와 비교해도 SSD의 매력을 만끽하기에 조금도 모자람이 없는 체감성능 향상을 도모 했다고 보입니다.
아직까지 대중적으로 보급되기에는 가격이 걸림돌이 되겠지만 수개월 전에 비해서는 많이 저렴해 진 것도 사실입니다. 어느 정도 비용지출을 감수하더라도 고 성능, 안정성을 선택한 High-end User 에게 Mtron MOBI 시리즈는 좋은 선택이 될 듯 합니다.
X61t 에 SSD MOBI 3025를 장착하여 Booting한 후 MS-Word, PhotoShop CS3를 연속 실행하는 동영상을 끝으로 리뷰를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