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ndows 10 출시일이 얼마남지 않았습니다만,
나름 Windows 8.1을 잘 사용하였고, 내심 10 버전도 기대하였습니다.
오늘 설치하고 보니 너무 괜찮은 OS라 느껴지더군요.
아직까지 큰 문제는 없었지만,
은행권 및 공공기관 사이트는 보안 패치 프로그램이 해당 은행사마다 다른 보안 프로그램으로 인하여 충돌 또는 지원이 되지 않습니다.
<하기 일부 시험 사이트 참조>
적용 사이트 : KB국민은행, 민원 24 등
미적용 사이트 : 신한은행, 농협은행 등
대체적으로 Windows 8, 8.1을 잘 사용하시는 유저께서는 애로사항 없이 잘 사용하실 수 있으리라 봅니다.
물론, Windows 7 유저분들도 잘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OS는 Windows 10 Enterprise RTM EN 버전(현재 KR 버전 미공개) 채택하였고,
시험 제 기종은 W520 모델로 적용하였으며,
저장장치 Intel msata SSD 240GB로 설치 장소로 지정한 후,
공식적 초기 설치 프로그램은 dotnet framework 3.5 Full Ver(일부 Windows 7 프로그램 지원). 및 기타 MS 관련 프로그램과
설치 완료 후 Windows 10 업데이트 실행했습니다.
레노버 사이트에서 해당 기종에 대한 Windows 10 일부 프로그램 적용 및 기존 Windows 7, 8.1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전원관리 및 액세스 커넥션 그리고 Thinkvatage, Hotkey 등 여러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사용한 결과 무리없이 동작하는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그래픽은 Windows 10에서 자동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적용하였습니다만, 버전도 Lenovo에서 제공하는 소스보다 약간 높은 버전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그리고 중요한 TP Fancontrol 프로그램도 설치하여 Fan 상태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적용했습니다.
활성화 키는 구글링을 통하여 적용키가 있다고 하지만, 정작 인터넷을 연결하여 시도한 결과 활성화 할 수 없다고 메시지가 발생합니다.
이 부분은 별도로 제가 시험한 결과 키 동작이 먹히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적용한 결과 지금은 활성화된 상태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짧게 설치기를 기재하여 알려드리며, 향후 추가적으로 시험 후 내용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비오는 주말 알차게 보내시기 바라며,
아래 그림은 현재 시스템 상태를 캡쳐한 상태입니다.
감사합니다.
<Windows 10 설치 및 시스템 사양>
<추가 내용 - 1>
Enterprise 버전은 공식적으로 한글판이 없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한글판을 이용하시고자 할 때는 아래와 같이 실행하여 설치하시면 됩니다.
주) 한글 설치는 2가지 접근 방법으로 설치 가능합니다.
(방법 1)
1. 윈도우 키 - 설정 클릭 - 시간 및 언어 - 지역 및 언어 탭을 까지 실행한 후 아래 그림과 같이 한국어 옵션 탭을 클릭
2. 언어 팩 다운로드 클릭하면 설치 가능
(방법 2)
1. 제어판 - 모든 제어판 항목 - 언어 탭까지 실행한 후 한국어 옵션 탭을 클릭
2. 언어 팩 다운로드 및 설치 클릭하면 설치 가능
설치 후 마지막으로 제어판에서
지역 또는 위치(Region) 클릭 - 화면 및 신규 사용자 계정(Screen & new user accounts) 탭 클릭 - 설정(Copy setting) 클릭 후
아래 그림과 같이 영어로 된 부분을 한글로 적용시키기 위해 screen & system accounts를 클릭 후 적용하여 재부팅하면 한글로 적용됩니다.
이상 언어팩 설치에 대한 추가 내용입니다.
X61 2대, T61P 1대 가지고 있습니다.
X61 한대는 Mac/Ubuntu 서버로 사용중이고, 나머지 한대는 서버제어 또는 일반 작업용으로 사용중입니다.
3대다 울베와 도킹으로 장착되어 사용하고 있어요.
[기술 & 공학 블로그] http://tech.ecostbay.net -> https://tech-blog.e-cia.org
[생활, 여행, 음식 블로그] http://blog.ecostbay.com
# 블로그에 오셔서 좋은 정보들을 함께 공유하세요 ^^ #
- W520,
- Windows 10,
- 윈도우 설치,
- 언어팩 설치,
- 한글
- Windows 10 Enterprise is activated II.png (672.0KB)(64)
- Windows 10 Enterprise is activated III.png (210.8KB)(79)
- Windows 10 Enterprise is Updates.png (40.1KB)(105)
- 지역 및 언어-1.png (30.5KB)(95)
- 지역 및 언어-2.png (21.6KB)(86)
- 제어판_언어-1.png (23.5KB)(96)
- 제어판_언어-2.png (19.2KB)(82)
- 화면 및 시스템 계정 언어변경.PNG (25.4KB)(85)
.net 3.5.1 full 버전은 Windows 10에서도 System-Apps & features-Manage optional features의 추가 기능설치에서도
설치 대상으로 목록화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Windows가 업데이트 되더라도 하위 버전에 사용되는 응용프로그램을 사용 및 지원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설치해야 할 프로그램 대상입니다. (참고로 웹에서 full 버전을 먼저 설치해도 무관함)
vcredist 또한 x86, x64는 웹에서 검색하여 관련된 MS 사이트에서 내려받아 사용하면 됩니다.
(매번 다운로드 받는 것을 불편사항을 감수하기 위해 미리 다운로드 받아 자료화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하면 무난함)
마지막으로 Windows 10 업데이트는 자동으로 검색하여 선택 미선택 하지 않고 모든 것을 선택하여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만약 삭제 대상이 있다면, 프로그램 설치에서 업데이트 된 설치 항목에서 제외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삭제 가능하지만,
또 다시 내려받기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저도 윈7엔터프라이즈 정품 사용중인데 업그레이드미지원이라고 나옵니다 ㅎㅎ
아마 해적판 설치해서 크랙화 하신것 같습니다
엔터프라이즈를 쓰는 이유는 비트락커나 도메인 등 기타 부가옵션때문에 많이 채택을 하는지라 개인이라면
굳이 엔터프라이즈까지는 ssd 용량을 더잡아먹는지라.. 썩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뽀대용이죠 즉.. ㅎㅎ
윈10도 여러가지 이슈들이 보이는데 윈10도 서팩1이나 2가 나올때쯤 관심이 좀 높아지지 않나 생각합니다
신규로 설치하였으며, 해적판?을 사용하여 설치하지 않았습니다.
참고로 설치할 때는 무조건 RTM 버전으로만 설치합니다. ㅎㅎ
크랙(또는 크랙버전)은 사용하지 않았으며, 크랙이란 명칭보다 제품키 활성화를 하여 인증된 제품으로 간주하여 사용합니다.
이 버전을 사용하는 이유는 업무상 또는 관련된 부가적 사항들 기능이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며,
용량은 그리 크게 관여하지 않습니다. (msata 240GB를 Win 7 Ent. & Win 10 Ent. 버전을 듀얼부팅으로 사용함)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은 Second SSD/ Third HDD를 이용하기 때문에 용량에 대한 제약은 받지 않습니다.
현재도 만족스러우며, SP는 향후에 패치버전이 출시된다면 그때 패치하여 사용해도 무관할 듯 싶습니다.
속도는 물른이고, 에러 발생율도 내려갑니다
7/8.1 정품(bing, enterprise는 해당 없고, 업글로 설치할 OS도 Enterprise는 해당 없음) 인증후 맞는 버전으로 업글 설치하면 인증 유지되고, 그 상태에서 포맷후 클린설치하면 자동으로 키 입력및 인증됩니다
7이후에서 .net 3.5 설치파일 필요 없고, 그걸로 설치시 XP용의 상당히 구버전이 설치됩니다 (윈도 기능 추가/제거쪽에 있습니다)
윈도 업데이트에서 vcredist의 업데이트를 받아오는걸 보면 그쪽 설치파일도 구버전인듯한데, 구글링하면 각버전의 최신 다운 가능하고, 해당 버전 설치시 업데이트에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것들은 업데이트시 덮어지는게 아니라 2중 설치되므로 업데이트를 추천하지 않고, 제거후 재설치를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