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에 사용하던 헬릭스 2세대가 작업을 힘들어 해서
오랜만에 신기종인 X1 카본 6세대를 신품으로 영입했습니다.
구매하기 전 마지막까지 T480s와 X1 카본 에서 고민을 했었는데요.
TP 유저라면 다들 공감하실 'TP로 게임을 즐기는게 가능한가?' 라는 문제였습니다.
T480s에 달린 것은 비록 Q-max가 적용된 저사양 이지만 그래도 인텔 내장보다는 성능이 좋은 150mx 여서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만, X1 카본에도 썬더볼트3 기반의 eGPU가 작동된다는 것을 확인하고 마음을 굳혔습니다.
다음으로 어떤 eGPU를 사용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였는데요,
처음에는 레노보에서 판매하는 1050 이 붙은 선더볼트3 그래픽스 독을 구매할까 고려했지만,
앞으로도 그래픽 카드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모델을 선정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여러 고민 끝에 집에 남아 있는 미니 사이즈 1060을 재사용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aorus gaming box 를 구매하기로 하였습니다.
물론 국내에서 판매하는 aorus gaming box 는 모두 그래픽 카드가 포함되어 있기에 해외 사이트에서 배송대행을 통해 그래픽카드 없이
케이스만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판매되는 물건을 선택하였습니다.
(컴퓨터에서 보면 제대로 회전되어 있는데 여기 업로드 하니 가로로 나오네요)
다음으로 기존에 포함되어 있는 케이블은 길이가 매우 짧아 썬더볼트3 케이블을 추가 구매하였습니다.
썬더볼트3 케이블을 구매하실 때에는 스펙을 확인하고 구매하셔야 합니다.
정식 스펙은 40Gbps에 100W의 전력을 커버할 수 있어야 합니다만,
저렴한 케이블들은 20Gbps 에 60W 정도의 반토막 성능이라 국내에서 손쉽게 구하는 방법은
애플 정품 썬더볼트 3 케이블입니다.
정식 스펙을 모두 충족하고 있으며 0.8m에 약 5만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처음의 두근거리는 마음을 가라않히며 X1 카본에 eGPU를 연결하였는데,
당혹스럽게도 인식이 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처음엔 제품 불량인가 싶어서 판매자 평점도 확인해 봤습니다.)
그래서 다양한 실험을 해보면서 쌓은 경험을 아래에 작성해보았습니다.
0. 개인적인 경험을 토대로 작성하였기에 잘못된 설명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eGPU의 파워를 연결
2. 노트북의 전원을 키고 레노보 업데이트를 통해 썬더볼트 소프트웨어 설치
3. eGPU에 썬더볼트 케이블을 연결하고 카본의 2개의 썬더볼트 포트 중 이더넷과 붙어있는 포트에 연결
4. 썬더볼트 연결 메시지가 나오고 연결 후 블루스크린 발생 => 재부팅
5. 재부팅후 장치관리자를 통해 uhd620 외에 microsoft 기본 장치가 추가로 붙어 있는지 확인
6. 안됬을 경우 케이블 분리 & 재결합
7. nvidia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
8. 인식
9. 전원이 연결되어 있을 때, lid(랩탑 뚜껑)를 닫아도 컴퓨터가 꺼지지 않도록 설정
10. 게임용 키보드와 마우스를 aorus gaming box의 USB에 연결
11. 즐거운 게임 라이프
썬더볼트3 케이블이 100W까지 지원하기 때문에 게임을 하면서도 노트북의 충전이 가능할 뿐더러
aorus gaming box의 후면에 USB 3.1 A 타입 단자가 4개 정도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게임 장비를 연결해 놓으면,
마치 도킹 스테이션처럼 쓸 수 있습니다. (USB 이더넷으로 LAN도 가능)
물론 단점으로는 초기 비용이 들고 셋팅이 쉽지는 않으며 소음이 심하고 플러그 앤 플레이가 가능하지만 불안정한 부분도 있어보여
현재는 매번 노트북 전원 온 -> eGPU 연결 -> 게임 플레이 -> eGPU 제거 -> 전원 종료(재시작) 의 프로세스를 거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업무용에 최적인 TP 하나로 게이밍까지 커버할 수 있다는 것은 TP 유저로서는 꿈의 장비입니다.
혹시 관심있으신 분들이 계시다면 도움이 되었으면 하고 본 글을 남깁니다.
P.S
현재 구매한 카본은 CTO 모델로 WWAN 미지원 모델이지만,
루머에 따르면 X1 5세대의 WWAN 안테나와 EM7345가 호환이 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실험차 구매를 시도하고 있으니, 부품이 도착한다면 직접 적용해 보고 다시 글을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P.S2 (2018-05-10)
EM 7345 에 대한 호환성 실험은 아래의 주소를 참고해주세요
http://tpholic.com/xe/ibmreport/12286643
지금까지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eGPU 연결과정이 약간 복잡한 것 같아서 의아했지만 (검색을 해봤지만 도움 될 만한 내용을 찾지 못했네요)
관심 있는 분들에게 큰 도움 될 것 같네요.
BIOS 설정에서 'Allow TB3 in pre-boot' 로 변경함으로 해결했다는 글이 있네요.
"Changing the 'Allow TB3 in pre-boot' bios setting seems to have sorted the situation out"
https://egpu.io/forums/implementation-guides/thinkpad-x1-carbon-6th-gen-with-aorus-gaming-box-1080/#post-32534
덧, eGPU 연결 문제로 인해 의외로 많은 해외 사용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에 놀랐네요.
다만 컴퓨터 종료 이전 eGPU를 분리 하는 이유 중 하나는 eGPU가 연결된 상태로 컴퓨터를 종료하게 되면,
컴퓨터는 제대로 종료되나 eGPU의 팬이 멈추지 않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현상이 발생한 것도 있었으며
eGPU에 연결해놓은 USB 이더넷이 eGPU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지속적으로 전기를 사용하며 발열이 나타나
현재는 분리 및 종료 후 eGPU의 전원코드도 분리하고 있습니다.
아직 안정화가 되진 않은 상태라 몇 가지 옵션을 더 시도해보도록 하겠습니다.